728x90

서아시아 신화와 고대국가/서아시아 고대 신화 20

가나안 신화의 신들(2) 아나트, 아스타르테, 모트, 얌, 몰록, 사탄, 노아

가나안 신화의 신들(2) 아나트, 아스타르테, 모트, 얌, 몰록, 사탄, 노아 아나트 Anat 사랑과 싸움, 혹은 승리의 여신이며 신 바알의 누이 혹은 아내라고도 한다. 호전적인 성격의 여신으로 많은 싸움을 통해 그녀가 죽인 시체의 피가 허리까지 잠길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만 바알의 형제 중 가장 아름다워서 이면성을 갖고 있는 여신이다. 이런 성향에 의해 사랑과 싸움이라는 속성을 가졌는지도 모른다. 아스타르테와 동일시하는 설도 있으며, 그리스의 아테네의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바알을 죽인 모트를 찾아가 죽여 복수하기도 한다. 아스타르테 Astarte 가나안의 『우가리트』 문헌에 등장하는 풍요와 다산의 여신이다. 바알의 아내라고 알려져 있으며,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인안나(이슈타르),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

가나안 신화 개요와 신들(1) 바알, 엘, 아세라

가나안 신화의 개요 가나안은 현대 레반트 지역에 속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남부에 위치했으며, 시나이반도와 아나톨리아 사이 해안 지역을 가리키는 옛 지명이다. 이 명칭이 최초로 기록된 시기는 기원전 18세기이며 쐐기 문자로 쓰여진 것이다.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손자이자 ‘함’의 아들의 이름인 ‘가나안’에서 유래했다고도 하고 당시 이 지역에서 직물과 자주색 염료 무역이 활발하여 ‘자줏빛 땅’, ‘상인의 땅’ 등으로 불렸는데, 여기서 유래했다는 의견도 있다. 성경에서 나오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은 가나안을 가리킨다고 한다. 고대 지도를 보면 일찍이 문명이 발달한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를 양 끝 쪽으로 도시들이 초승달 모양으로 이어져 있다. 이를 '비옥한 초승달'이라 불리는데,..

페르시아 신화 - 상징, 상상의 생명체, 제사 의식과 메시아

페르시아 신화 - 상징, 상상의 생명체, 제사 의식과 메시아 조로아스터교의 상징 '파라바하르' 상상의 생명체 '시무르그&만티코어', 요정 '페리', 생명의 나무 '사에나 나무' '야스나 의식'과 '하오마' 페르시아인들의 메시아 '사오시얀트' 파라바하르 Faravahar 페르시아 신화와 조로아스터교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날개가 달린 태양 원반 위에 앉은 왕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로아스터교 이전에 고대 근동 주로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사용한 날개 달린 태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파라바하르는 신의 은총과 더 높은 권력을 의미하며, 이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슬람 이전의 상징 중 하나로 동전이나 무덤, 신전 등에 새겨지기도 했다. 페리 Peri 아름다운 날개를 가진 작은 여성 정령이다...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3) 베레트라그나, 라쉬누, 아나히타, 바타(바야), 조르반, 이마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3) 베레트라그나, 라쉬누, 아나히타, 바타(바야), 조르반, 이마 베레트라그나 Verethragna 바흐람이라고도 불리며 ‘승리’를 신격화한 신이자, 악에 맞서 싸우는 전사의 신이다. 그는 10가지 화신으로 변신할 수 있었 다.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멧돼지의 모습이 베레트라그나의 대표적인 화신이며, 그 외 강한 바람, 황금 뿔을 가진 황소, 황금 장식을 한 백마, 거대한 숫양, 힘이 센 낙타, 15세 청년(당시 15세를 소년이 남자가 되는 나이로 여겨졌다), 거대한 새, 황금 검을 지닌 전사 등의 모습을 했다고 한다. 베레트라그나는 필요할 때면 깃털로 ‘시무르그’를 불러낼 수 있었다. 베레트라그나의 묘사는 대부분 조로아스터교 경전 「아베스타」에서 비롯된 것이며, 최고의 힘, 용기,..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2) 스라오샤, 앙그라 마이뉴, 아리만(아흐리만), 가요마르트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2) 스라오샤, 앙그라 마이뉴, 아리만(아흐리만), 가요마르트 스라오샤 Sraosha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스라오샤는 본래 페르시아 신화에서 청취와 순종의 수호신이었다. 조로아스터 교의 시대에 스라오샤는 '아리만'의 하인들에 의해서 학대받았던 인간의 부르짖음을 들은 아후라 마즈다의 귀였다. 모든 사악한 것들은 밤에 활동하므로, 스라오샤는 태양이 진 후에 지상에 내려와 분노와 폭력의 악마들을 쫓았다. 또한 '양심의 천사' 혹은 '양심의 목소리'로서 '아후라 마즈다'에게서 배운 가르침과 종교, 양심과 삶의 아름다움을 인류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스라오샤는 죽은 영혼이 건너는 친바트 다리(심판의 다리)의 세 수호신(라쉬누, 미트라, 스라오샤)..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1) 바루나, 미트라, 아후라마즈다, 스펜타마이뉴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1) 바루나, 미트라, 아후라마즈다, 스펜타마이뉴 바루나 Varuna 고대 인도와 이란지역의 창조신이자 창공과 물의 신이다. ‘바루나’는 산스크리트어로 ‘감싸는 자, 옭아매는 자’ 정도로 해석된다고 한다. 만물을 감싸는 창공이자 바다인 것이다. ‘아후라 마즈다’와 같은 신격으로 여겨지며 ‘미트라’와 더불어 2대 주신 중 하나이다. 아리아인들이 이란계와 인도계로 나뉘면서 인도로 이주한 아리아인들은 ‘인드라’를 주신으로 여겼는데, 이주 전에는 모두 바루나를 주신으로 섬겼다. 인간사 도덕과 우주의 법칙을 관장하고, 해와 달, 바람과 강 등 자연을 관장하는 ‘우주의 질서’ 그 자체로 여겨졌다. 절대 지각을 통해 인간들의 마음과 행위를 꿰뚫어 볼 수 있어 선악을 판단하여 벌을 주거나 상을 내..

페르시아 신화(이란 신화) 개요

페르시아 신화 (이란 신화) 개요 페르시아 신화는 현재 이란 및 그 주변인 중동 지역에 정착한 아리아인에 의해 형성된 신화이다. 페르시아인은 이 부족 중 하나로 이들이 거주했던 파르스 지역을 일컫는 그리스어이다. 현대에는 '이란 신화'라고 말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페르시아 문화의 기초는 기원전 3000년 전에 이미 확립되었다. 신화의 범위는 조로아스터교 성립 이전 고대 아리아인의 신화, 조로아스터교의 신화, 그리고 이슬람교 도래 이후의 신화까지 포함된다. 좁은 의미로는 이슬람교 도래 이전의 신화들을 가리킨다. 페르시아 신화는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500년)의 인도 신화와 상당한 접점이 있었는데, 이는 인도로 남하한 아리아인들과 이란인이 같은 뿌리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1) 고대..

이집트 신화의 신들(6) 스핑크스, 와프와웨트, 세르케트, 세케르, 호루스, 아펩, 임호테프

이집트 신화의 신들(6) 스핑크스, 와프와웨트, 세르케트, 세케르, 호루스, 아펩, 임호테프 스핑크스 Sphinx 사자의 몸을 가진 신화 속 생물로 인간의 머리에 파라오의 머리 장식(네메스)을 쓰고 엎드려 있는 사자가 스핑크스의 기원적인 개념이다. 이집트인들이 처음 만들었으며, 왕권을 상징하고 선한 자의 보호 신이었다. 스핑크스가 처음 등장한 날짜는 모르나, 가장 유명한 기자의 스핑크스가 만들어진 것은 기원전 2500년경으로 예상된다. 이 거대한 스핑크스는 길이가 80미터나 되며, 해 뜨는 방향을 똑바로 향하고 있었다. 피라미드를 수호하고 레의 적을 처벌하는 스핑크스는 이집트의 미술과 건축에서 인기 있는 소재였다. 보통 장례식장, 무덤, 장례 기념물 바깥이나 옆에 경기병의 역할로 배치되었다. 전설에 의하..

이집트 신화의 신들(5) 바스테트, 케프리, 네헤브카우, 베스, 하피, 헤카, 아누비스

이집트 신화의 신들(5) 바스테트, 케프리, 네헤브카우, 베스, 하피, 헤카, 아누비스  바스테트 Bastet '라(레)'의 딸이자 이집트의 고양이 여신. 여성의 비밀, 다산, 난로와 집을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아름다운 여신이다. 이집트의 많은 신들과 같이 사후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죽은 자를 안내하거나 돕는 것이 주된 임무 중 하나였다. 머리가 고양이인 여신으로 묘사되는 이 신을 숭배한 마을의 공동묘지에는 미라로 만든 고양이도 발견되었다. 남성, 여성 구분 없이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 중 하나였고, 집과 가족의 수호신이었기에 이집트인들은 바스테트의 부적을 가지고 다니기도 했다.  처음에는 암사자의 머리를 한 세크메트 여신과 연관 있는 여신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며 바스테트의 이미지는 야만..

이집트 신화의 신들(4) 이시스, 네프티스, 아문, 하토르

이집트 신화의 신들(4) 이시스, 네프티스, 아문, 하토르 이시스 Isis 글자 그대로의 뜻은 ‘의자’이며 이집트의 모신이자 대지의 신 ‘게브’와 하늘의 신 ‘누트’의 딸이다.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누이이며 ‘호루스’의 어머니이다. 이집트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인기 있는 여신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동료 신들을 돌보는 신들의 어머니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다. 그녀는 살아 있는 사람들도 잘 돌보았고 죽은 후에도 사람들에게 나타나 낙원으로 안전하게 인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시스는 종종 아들 호루스를 무릎 위에 앉혀 젖을 먹이는 여인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마리아가 예수를 안고 있는 이미지의 원형이며, 죽었다 부활하는 예수의 모습 또한 이시스의 남편 오시리스 신상을 변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녀의 머리 장식..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