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교 2

금도끼 은도끼 '신선' - 학, 복숭아, 신선대

금도끼 은도끼 '신선' - 학, 복숭아, 신선대  도교 문화권의 신선사상신선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도교 문화권의 전설에 등장하며, 초인적 능력을 지닌 불로불사의 존재이다. ‘우인’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우’는 날개를 뜻해 날개가 달린 사람이라는 뜻도 있다. 신선들은 모두 산에 살며 하늘과 땅 사이를 자유로이 왕래하고 인간계에도 종종 나타난다. 초기 신선은 무릉도원, 낙원, 별천지라는 인간계와는 다른 곳에 사는 신으로, 인간에게 불로불사의 약을 내린다고 여겨졌다. 이러한 낙원은 멀리서 보면 구름으로 보이는데 가까이 가면 없어져 버리는 신기루와 같다고 한다. 추후에는 도가사상과 결합하면서 인간이 방술*과 수행에 의해 될 수 있는 것이 되었으며, 이를 믿는 것을 신선 사상이라고 한다. 인간이 신선이 되면..

동아시아 신화 2024.04.05

동아시아 신화의 배경 및 개요 -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신화 배경 및 개요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는 지리적, 문화적으로 연관된 아시아 동부 지역을 의미하며 중국, 한국, 일본, 대만 등이 포함된다. 때때로 몽골, 러시아, 베트남이 포함되기도 한다.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 요소 중 하나는 한자 문화권이라는 점을 포함, 무교(巫敎, 무속신앙), 유교, 불교, 도교 사상의 영향이다. 다만 몽골은 유교적 요소가 약한 편이고, 한자 문화권이 아니라는 차이점이 있다. 동아시아의 신화는 시베리아를 비롯한 만주 지역의 샤머니즘, 다양한 영향력을 끼친 불교와 도교, 나라별 개국 신화들, 무당들을 통해 전승되는 원시적 종교의 한 형태인 무속신앙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무속신앙은 주술사나 샤먼이 신의 세계, 조상신, ..

동아시아 신화 2024.03.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