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란신화 5

페르시아 신화 - 상징, 상상의 생명체, 제사 의식과 메시아

페르시아 신화 - 상징, 상상의 생명체, 제사 의식과 메시아 조로아스터교의 상징 '파라바하르' 상상의 생명체 '시무르그&만티코어', 요정 '페리', 생명의 나무 '사에나 나무' '야스나 의식'과 '하오마' 페르시아인들의 메시아 '사오시얀트' 파라바하르 Faravahar 페르시아 신화와 조로아스터교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날개가 달린 태양 원반 위에 앉은 왕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로아스터교 이전에 고대 근동 주로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사용한 날개 달린 태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파라바하르는 신의 은총과 더 높은 권력을 의미하며, 이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이슬람 이전의 상징 중 하나로 동전이나 무덤, 신전 등에 새겨지기도 했다. 페리 Peri 아름다운 날개를 가진 작은 여성 정령이다...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3) 베레트라그나, 라쉬누, 아나히타, 바타(바야), 조르반, 이마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3) 베레트라그나, 라쉬누, 아나히타, 바타(바야), 조르반, 이마 베레트라그나 Verethragna 바흐람이라고도 불리며 ‘승리’를 신격화한 신이자, 악에 맞서 싸우는 전사의 신이다. 그는 10가지 화신으로 변신할 수 있었 다.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멧돼지의 모습이 베레트라그나의 대표적인 화신이며, 그 외 강한 바람, 황금 뿔을 가진 황소, 황금 장식을 한 백마, 거대한 숫양, 힘이 센 낙타, 15세 청년(당시 15세를 소년이 남자가 되는 나이로 여겨졌다), 거대한 새, 황금 검을 지닌 전사 등의 모습을 했다고 한다. 베레트라그나는 필요할 때면 깃털로 ‘시무르그’를 불러낼 수 있었다. 베레트라그나의 묘사는 대부분 조로아스터교 경전 「아베스타」에서 비롯된 것이며, 최고의 힘, 용기,..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2) 스라오샤, 앙그라 마이뉴, 아리만(아흐리만), 가요마르트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2) 스라오샤, 앙그라 마이뉴, 아리만(아흐리만), 가요마르트 스라오샤 Sraosha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스라오샤는 본래 페르시아 신화에서 청취와 순종의 수호신이었다. 조로아스터 교의 시대에 스라오샤는 '아리만'의 하인들에 의해서 학대받았던 인간의 부르짖음을 들은 아후라 마즈다의 귀였다. 모든 사악한 것들은 밤에 활동하므로, 스라오샤는 태양이 진 후에 지상에 내려와 분노와 폭력의 악마들을 쫓았다. 또한 '양심의 천사' 혹은 '양심의 목소리'로서 '아후라 마즈다'에게서 배운 가르침과 종교, 양심과 삶의 아름다움을 인류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스라오샤는 죽은 영혼이 건너는 친바트 다리(심판의 다리)의 세 수호신(라쉬누, 미트라, 스라오샤)..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1) 바루나, 미트라, 아후라마즈다, 스펜타마이뉴

페르시아 신화의 신들(1) 바루나, 미트라, 아후라마즈다, 스펜타마이뉴 바루나 Varuna 고대 인도와 이란지역의 창조신이자 창공과 물의 신이다. ‘바루나’는 산스크리트어로 ‘감싸는 자, 옭아매는 자’ 정도로 해석된다고 한다. 만물을 감싸는 창공이자 바다인 것이다. ‘아후라 마즈다’와 같은 신격으로 여겨지며 ‘미트라’와 더불어 2대 주신 중 하나이다. 아리아인들이 이란계와 인도계로 나뉘면서 인도로 이주한 아리아인들은 ‘인드라’를 주신으로 여겼는데, 이주 전에는 모두 바루나를 주신으로 섬겼다. 인간사 도덕과 우주의 법칙을 관장하고, 해와 달, 바람과 강 등 자연을 관장하는 ‘우주의 질서’ 그 자체로 여겨졌다. 절대 지각을 통해 인간들의 마음과 행위를 꿰뚫어 볼 수 있어 선악을 판단하여 벌을 주거나 상을 내..

페르시아 신화(이란 신화) 개요

페르시아 신화 (이란 신화) 개요 페르시아 신화는 현재 이란 및 그 주변인 중동 지역에 정착한 아리아인에 의해 형성된 신화이다. 페르시아인은 이 부족 중 하나로 이들이 거주했던 파르스 지역을 일컫는 그리스어이다. 현대에는 '이란 신화'라고 말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페르시아 문화의 기초는 기원전 3000년 전에 이미 확립되었다. 신화의 범위는 조로아스터교 성립 이전 고대 아리아인의 신화, 조로아스터교의 신화, 그리고 이슬람교 도래 이후의 신화까지 포함된다. 좁은 의미로는 이슬람교 도래 이전의 신화들을 가리킨다. 페르시아 신화는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500년)의 인도 신화와 상당한 접점이 있었는데, 이는 인도로 남하한 아리아인들과 이란인이 같은 뿌리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1) 고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