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신화의 신들(5)
바스테트, 케프리, 네헤브카우, 베스, 하피, 헤카, 아누비스
바스테트 Bastet
'라(레)'의 딸이자 이집트의 고양이 여신. 여성의 비밀, 다산, 난로와 집을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아름다운 여신이다. 이집트의 많은 신들과 같이 사후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죽은 자를 안내하거나 돕는 것이 주된 임무 중 하나였다. 머리가 고양이인 여신으로 묘사되는 이 신을 숭배한 마을의 공동묘지에는 미라로 만든 고양이도 발견되었다. 남성, 여성 구분 없이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 중 하나였고, 집과 가족의 수호신이었기에 이집트인들은 바스테트의 부적을 가지고 다니기도 했다.
처음에는 암사자의 머리를 한 세크메트 여신과 연관 있는 여신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며 바스테트의 이미지는 야만적인 모습에서 일상의 조력자로 변모하였다. ‘피라미드 텍스트’ 이후에 바스테트는 수호하는 어머니인 동시에 무서운 복수자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녔다. 인류에게 전염병과 재앙을 가하기도 했는데, 어떤 글에서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선 바스테스의 아들인 척하라는 조언을 하기도 한다.
그리스에서 온 여행자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집트인들은 불을 끄기보다는 집 주변에 간격을 두고 자리해 고양이들을 지켜본다. 하지만 고양이들은 그사이를 빠져나가거나, 사람들 사이를 뛰어넘어 불 속을 뛰어들기도 한다. 그러면 사람은 그 죽음에 크게 슬퍼한다. … 집에서 고양이가 자연사하면 그 집 사람들은 눈썹을 깎는 것 외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개가 죽은 집에서는 머리와 온몸을 면도한다” 그 밖에도 어떤 생물의 수호신이든가, 또는 그 동물의 모습을 한 신들을 신성시하는 각각의 도시가 있었다.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는 이집트와의 치른 펠루시움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방패에 바스테트의 이미지를 그렸고, 군대 앞에는 동물들을 이끌고 다녔다. 이집트인들이 이 여신 앞에서는 항복할 것을 예상했기 때문이다. 이 정도로 바스테트는 이집트인들에게 보편적으로 사랑받았다.
케프리 Khepri
풍뎅이의 머리를 한 신으로 태양신 '라(레)'의 한 양상이다. 아침에 떠오르는 태양으로 삶의 재생과 창조를 상징한다. 이집트인들은 풍뎅이의 일종 쇠똥구리가 땅 위에서 짐승의 똥을 둥글게 만들어 굴리는 것을, 레가 태양을 굴리면서 하늘을 가로지르는 것과 비교했다고 한다.
네헤브카우 Nehebkau
네헤브카우는 팔다리만 사람과 같은 뱀으로, '아툼'이 혼돈에서 솓아 질서를 만들기 전 태초의 바다에서 헤엄을 쳤다. '헤카'와 같이 항상 존재한 것이었다. '카'(인간의 영혼)을 결합하는 자'로서 태어날 때 '카'를 육체에 결합하고, 죽은 후에는 '카'를 '바'(타인과 자신을 구별하는 인격)와 결합해 심판한다고 믿었다. 원래 악령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추후 장례의 신이 되기도 했다. 후기 신화에서는 태양신 라(레)와 같이 다니며, 죽은 왕의 수행자이기도 해서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베스 Bes / 비수 Bisu
초기에는 가정, 어머니와 어린이의 수호자이자 악을 물리치는 난쟁이신이다. 출산, 다산, 성, 전쟁, 유머와 관계가 있고, 신이라기보다는 영, 악마(지금의 '악마'의 의미는 아니다)에 가까웠지만 신으로 숭배되었다. 이집트인들의 가정집에 있는 가구, 거울 등 다양한 일상용품에 새겨져 있다.
보통 털 많은 얼굴, 짙은 눈썹, 긴 머리, 튀어나온 귀, 낮은 코를 가졌고, 혀를 내밀고 있다. 팔은 길고 굵으며, 다리를 절며, 눈에 띄는 성기를 가지고 있다. 평면 그림에서는 언제나 옆모습이 그려져 있는 이집트 신과는 달리, 베스는 정면을 바라보고 보호자의 자세를 취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인간의 즐거움과 결부되어 있는 베스는 친절하며, 불운에 대항하는 수호신이었다. 그는 뱀들을 죽이고, 아이들을 보호하며, 인간이 아이를 많이 낳도록 장려한다. 베스의 배우자는 다산의 하마 여신인 타웨레트이다.
하피 Hapi
이집트의 다산의 신이자 나일강 토사의 신이다. 메소포타미아의 강들과는 달리 이집트의 나일강은 신으로서 숭배되었다. 하피 또한 홍수 때 강을 의인화한 신이었을 것이고, 홍수로 인해 강둑이 범람하여 비옥한 토양이 퇴적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해마다 범람 기간에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데 대한 보답으로, 이집트인들은 이 나일강의 신에게 음식, 귀중한 장식품, 그리고 보석을 공물로 바쳤다. 하피는 다산과 성공을 의미하는 큰 가슴과 배를 가졌으며, 보통 보리 이삭과 풍요의 뿔을 가진 것으로 표현된다.
헤카 Heka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신 중 하나로, 이집트 창조 신화에 태초의 물에 함께 존재했던 마법의 신이다. 헤카는 고대 이집트어로 ‘주술’이란 뜻으로, 마법, 의학의 수호신이자 우주의 원초적인 힘을 상징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마법은 의료 행위의 필수적인 부분이었기 때문에 의사들에게도 중요한 신이었다. 헤카는 자신의 힘을 상징하는 두 마리의 뱀을 지팡이에 엮었다고 한다. 창조의 새벽, 아툼이 모든 것을 탄생시키게 한 첫 번째 ‘말’을 의인화한 말의 신인 ‘후(Hu)’는 헤카와 연결되어 있으며 헤카의 힘을 상징하기도 한다.
아누비스 Anubis
머리가 자칼의 머리를 하고 지팡이를 들고 있는 이집트의 장례신이다. 아누비스는 미라를 만든 후원자이자 분묘의 수호자 역할을 했다. ‘네프티스’와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케베트’의 아버지이다. 또 하나의 위대한 죽음의 신인 오시리스의 지위가 상승하기 이전에는 매장의 기도식이 아누비스를 주신으로 하여 집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누비스는 죽은 자의 영혼을 ‘진리의 전당’으로 인도하고 사후 세계에서 영혼의 심장 무게를 재는 의식을 일부 진행하기도 했다.
'서아시아 신화와 고대국가 > 서아시아 고대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르시아 신화(이란 신화) 개요 (0) | 2024.03.07 |
---|---|
이집트 신화의 신들(6) 스핑크스, 와프와웨트, 세르케트, 세케르, 호루스, 아펩, 임호테프 (4) | 2024.03.06 |
이집트 신화의 신들(4) 이시스, 네프티스, 아문, 하토르 (0) | 2024.03.03 |
이집트 신화의 신들(3) 게브, 누트, 오시리스, 세트 (0) | 2024.03.01 |
이집트 신화의 신들(2) 세샤트, 프타, 크눔, 네이트, 슈, 테프누트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