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신화의 신들(4) 이시스, 네프티스, 아문, 하토르
이시스 Isis
글자 그대로의 뜻은 ‘의자’이며 이집트의 모신이자 대지의 신 ‘게브’와 하늘의 신 ‘누트’의 딸이다.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누이이며 ‘호루스’의 어머니이다. 이집트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인기 있는 여신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동료 신들을 돌보는 신들의 어머니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다. 그녀는 살아 있는 사람들도 잘 돌보았고 죽은 후에도 사람들에게 나타나 낙원으로 안전하게 인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시스는 종종 아들 호루스를 무릎 위에 앉혀 젖을 먹이는 여인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마리아가 예수를 안고 있는 이미지의 원형이며, 죽었다 부활하는 예수의 모습 또한 이시스의 남편 오시리스 신상을 변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녀의 머리 장식에 있는 빈 의자는 오시리스의 빈 왕좌를 의미하며, 그 외에도 전갈, 솔개 등이 그녀를 상징한다. ‘이시스와 일곱 전갈’이라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 이시스가 아기 호루스를 세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늪지대에서 숨겼을 때 일곱 마리의 전갈이 그녀와 함께했다. 이시스가 저녁에 먹을 것을 구하러 나갈 때, 전갈들은 이이스를 보호했다. 세 마리는 길을 먼저 가서 안전한지 확인하고, 둘은 그녀 양쪽에 섰고, 가장 무서운 둘은 후방을 살폈다.
이시스는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해 나이 든 여인으로 변해 구걸했는데, 어느 날 부유한 귀족 여인이 그녀를 보더니 창문을 쾅 닫고 문을 잠가버렸다. 여기에 전갈들은 분노했고, 대가를 치르기로 결심한다. 이를 지켜본 한 가난한 농부 여인이 이시스와 전갈들에게 간단한 식사와 잠잘 곳을 제공했다. 이시스가 식사를 하는 동안 다른 전갈들에게 독을 모은 한 전갈이 귀족 여인의 집으로 들어가 그녀의 어린 아들을 찔렀고 아이는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귀족 부인은 길거리로 뛰어나가 도움을 청했고, 이를 들은 이시스는 그녀를 용서하고 강력한 마법 주문을 외웠다. 독이 증발하면서 아이는 다시 살아났고, 이에 부끄럽고 감사한 마음을 가진 귀족 부인은 모든 재산을 이시스와 가난한 농부 여인에게 주었다. 다른 버전의 이야기에서는 ‘세르케트’라는 여신이 전갈들이 소년에게 복수하도록 부추기는데, 이시스가 용서하는 것을 보고 반성하여, 이후 어린이들이 독사에게 물리지 않게 하는 보호하는 신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를 통해 고대 이집트인들은 낯선 사람에 대한 친절과 용서, 그리고 환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네프티스 Nephthys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이다. 대지의 신인 ‘게브’와 하늘의 여신인 ‘누트’ 사이에 태어난 네명의 남매 중 막내이자 세트의 아내이기도 하다. 혼란, 분열을 의미하는 세트와는 반대로 네프티스는 화합과 모임, 힘을 상징한다. 세트가 오시리스를 죽이는데 명분을 얻기 위해 네프티스를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로 변해 유혹하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네프티스는 큰 오빠 오시리스와의 사이에서 죽음의 신 ‘아누비스’를 낳는다. 이후 네프티스는 남편을 살리려고 하는 이시스를 돕다가 세트의 설득으로 인해 다시 배신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네프티스는 죽은 자의 영혼을 돕는 죽은 자의 여신이다. 그녀는 사후 세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어 ‘죽은 자의 친구’로도 불렸고, 고인의 소식을 지상에 있는 친척들에게 전하고 그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네프티스의 상징은 매, 플라타너스 나무이다. 석양, 황혼, 어둠과도 관련이 있다.
아문 Amun
이집트에서 가장 인기 있고 강력한 신 중 하나로 태양과 공기의 신이다. 원래는 다산의 신이었지만 종종 신들의 최고 왕이기도 했으며 일신교에 가까운 숭배를 받았다. 아문의 사제는 가장 권위가 있었고, 왕실 여성에게 주어지는 '아문의 신의 아내'라는 지위는 파라오와 거의 동등했다.
도시 테베의 수호신인 테베 삼신은 아문(아버지), 무트(어머니), 달의 신 콘수(아들)이다. 그리스인에게는 '제우스'와 동일시할 정도로 이집트의 주요 신이었다. 이 테베의 수호신이 가장 숭상받던 시대는 이집트가 침입자들을 몰아내고 가나안까지 제국의 국경을 확장했던 기원전 16세기였다. 주로 두 개의 큰 깃털이 달린 장식을 하고 턱수염을 기른 남자로 표현되고, 종종 숫양 머리를 한 것으로 묘사된다. '아문'의 뜻은 '숨겨진 자', '신비한 형상', '보이지 않는 자'라고 하며, 세상 모든 것을 아우르는 만물의 영장으로 여겨졌다.
하토르 Hathor
라의 딸이자, 일부 이야기에서는 호루스의 아내이기도 하다. 풍년의 여신인 하토르는 태어나는 아이들을 보살피며, 아름다움, 사랑, 결혼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하토르는 태양의 원반을 사이에 둔 암소의 두 뿔을 가진 여신으로 표현되며, 소의 머리를 한 여신으로도 묘사된다. 추후 하토르의 특징들을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에 의해 대부분 흡수된다.
태양신 라(레)는 인간의 죄로 인해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하토르를 지상에 보낸다. 다른 신들이 이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사람까지 모두 죽기 전에 하토르의 파괴를 막아달라고 간청한다. 라는 피처럼 빨갛게 물들인 맥주통을 덴데라에 두었고, 피를 고파하던 하토르가 이를 마셨다. 잠이 들었다 꺤 하토르는 자비로운 여신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토르의 이름 중 하나인 '술 취한 여인'은 이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외에도 기쁨, 영감, 축하, 사랑, 여성, 출산, 술 취함의 수호신이다. 사후 세계에서 하토르는 죽은 자의 영혼을 낙원으로 인도하는 것을 돕고, 라(레)의 태양의 범선을 타고 아펩으로부터 낙원을 지키는 자들 중 한 명이다.
'서아시아 신화와 고대국가 > 서아시아 고대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신화의 신들(6) 스핑크스, 와프와웨트, 세르케트, 세케르, 호루스, 아펩, 임호테프 (4) | 2024.03.06 |
---|---|
이집트 신화의 신들(5) 바스테트, 케프리, 네헤브카우, 베스, 하피, 헤카, 아누비스 (0) | 2024.03.04 |
이집트 신화의 신들(3) 게브, 누트, 오시리스, 세트 (0) | 2024.03.01 |
이집트 신화의 신들(2) 세샤트, 프타, 크눔, 네이트, 슈, 테프누트 (0) | 2024.02.29 |
이집트 신화의 신들(1) 누, 아툼, 레, 마트, 토트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