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 신화와 고대국가/서아시아 고대 국가

인류 최초 문명, 수메르

miracle HM 2024. 9. 28. 17:42
반응형


인류 최초 문명, 수메르

 

1. 초기 역사와 도시 발전
2. 도시와 문화의 발전
3. 최초의 다민족 제국, 아카드 제국
4. 수메르 르네상스
5. 수메르 문명의 종교와 신화
6. 수메르 문명의 유산

 

'우르'의 유적


수메르(Sumer)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부(오늘날 이라크와 쿠웨이트 지역)에 위치한 문명으로, 인류 문명의 요람으로 여겨집니다. 이 지역 이름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드어에서 유래했으며, ‘문명화된 왕들의 땅’을 의미합니다. 수메르 문명은 인류 최초로 문자를 사용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곳에서 수메르 사람들은 자신들을 ‘검은 머리의 사람들’이라고 불렀습니다.

 


1. 초기 역사와 도시 발전

수메르 지역은 기원전 5000년경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이들의 문명 발전은 우바이드(Ubaid) 시대로 불리는 초기 시기에 시작되었습니다. 우바이드 시기의 사람들은 수메르인 이전의 정착민으로, 이들은 수렵과 채집 생활에서 벗어나 농경 사회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들은 토기를 제작하고, 농업 도구를 사용하며, 문명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3000년경 이 지역에 정착하여 여러 도시를 발전시켰고, 이러한 도시들 중 우루크(Uruk)는 세계 최초의 도시로 여겨집니다.

 

2. 도시와 문화의 발전

기원전 3600년경 수메르인들은 수레, 돛단배, 농업 관개 시스템, 도시 개념 등을 발명했습니다. 이 시기에 수메르의 주요 도시들은 에리두(Eridu), 우루크(Uruk), 우르(Ur), 라르사(Larsa), 이신(Isin), 니푸르(Nippur), 키시(Kish) 등이었으며, 각 도시는 자치권을 가진 독립적인 도시국가로 기능했습니다. 특히 우루크는 당시 가장 크고 강력한 도시로 성장하였고, 도시국가들 간의 경쟁은 수메르 문명의 발전을 촉진시켰습니다.

수메르 4300 BCE

 

3. 최초의 다민족 제국, 아카드 제국

 

수메르 문명은 기원전 2334년경 사르곤(Sargon)에 의해 아카드 제국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사르곤은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통일하여 최초의 다민족 제국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기원전 2218년경 구티아인(Gutians)의 침입으로 아카드 제국은 쇠퇴하였고, 이 시기는 수메르 문명의 암흑기로 여겨집니다. 구티아인들은 수메르의 도시들을 파괴하고,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질서를 무너뜨렸습니다.

 

4. 수메르 르네상스

기원전 2047년경 우르(Ur)의 제3왕조가 등장하면서 수메르 문명은 다시 한 번 부흥을 맞이했습니다. 이 시기를 수메르 르네상스라고 부르며, 예술, 과학,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뤘습니다. 


우르 남무(Ur-Nammu) 왕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을 담은 점토판인 우르남무 법전(최초의 성문법: 문자로 적어 나타내고, 문서의 형식을 갖춘 법률)을 만들었으며, 그의 아들 슐기(Shulgi) 왕은 도시들을 연결하는 길을 건설하고, 문화를 장려했습니다. 이 시기의 발전은 수메르 문명을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

 

5. 수메르 문명의 종교와 신화


수메르 문명은 신들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다신교 신앙을 가졌습니다. 수메르인들은 신들이 우주의 모든 질서를 담당하고 있으며, 인간은 그들의 신성한 질서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신화 속에서 신들은 대자연의 힘과 관련된 존재로, 인간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종교 의식과 숭배
수메르인들은 신전(Ziggurat)에서 종교 의식을 진행하며,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예배를 드렸습니다. 수메르의 신전들은 도시 중심부에 위치하여 종교적 및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습니다. 주요 신전들은 각 도시의 수호신에게 바쳐졌으며, 우르의 난나 신전, 우루크의 이난나 신전 등이 대표적입니다. 신들에게 바치는 제물은 음식, 음료, 동물 등이었으며, 신들의 축복을 받기 위한 기도로 이어졌습니다

 


(2) 주요 신과 계층구조
수메르 신화에서는 신들의 계층 구조가 명확히 정해져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연 현상과 사회 질서를 담당하는 여러 신들을 숭배했습니다.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An)

하늘의 신으로, 신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었습니다. 안은 하늘을 다스리는 역할을 했으며, 수메르 신화에서 모든 신들의 아버지로 불렸습니다.


엔릴(Enlil)

바람과 폭풍의 신이자 대지와 하늘을 분리한 신으로, 질서와 법률을 담당했습니다. 엔릴은 수메르인들이 가장 경외한 신 중 하나로, 인간에게 문명의 기초를 주었다고 전해집니다.


엔키(Enki)

물과 지혜의 신으로, 특히 기술과 창조를 관장하는 신이었습니다. 엔키는 수메르인들에게 창조와 학문의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인간에게 농업, 건축 등 기술을 전수한 신으로 묘사됩니다.


이난나(Inanna)

사랑과 전쟁, 풍요의 여신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여신입니다. 그녀는 전쟁의 여신으로도 숭배받았고, 그녀의 이야기 중에는 하계로 내려가 죽음을 경험한 후 부활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난나(Nanna)

달의 신으로, 우르(Ur)의 수호신이었습니다. 난나의 숭배는 특히 달의 주기와 관련된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 수메르 주요 신화 이야기
수메르 신화는 주로 인간과 신들의 상호작용, 질서와 혼돈의 대립, 창조와 파괴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신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누마 엘리시(Enuma Elish)

이 신화는 우주의 창조와 신들의 세력 다툼을 다루고 있습니다. 처음에 혼돈이 존재했고, 신들이 이 혼돈을 질서로 만들며 우주를 창조하는 과정이 묘사됩니다. 수메르인들은 이 신화를 통해 문명과 질서가 신들의 의지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습니다​

길가메시 서사시

수메르 신화 중 가장 유명한 서사시로,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가 영원한 생명을 찾아 떠나는 모험을 다룹니다. 이 서사시는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길가메시가 결국 죽음의 불가피성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난나의 지하 여행

사랑과 전쟁의 여신 이난나가 지하 세계를 탐험하고 죽음을 경험한 후 부활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신화는 수메르인들에게 생명과 죽음, 부활의 개념을 상징적으로 전달했습니다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모습을 묘사한 벽판


6. 수메르 문명의 유산

수메르 문명은 다양한 기술과 문화적 기여를 남겼습니다. 그들은 최초로 바퀴를 발명하고, 쐐기문자(cuneiform)를 사용하여 기록을 남겼으며, 도시국가 체제를 발전시켰습니다. 또한, 수메르인들은 60진법을 사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법률 체계를 발전시켰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수메르 문명은 기원전 1750년경 엘람인과 아모리인에 의해 멸망했지만, 그들의 문화는 후대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수메르 신화와 종교는 후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문명에서도 수메르의 신화와 종교적 개념이 차용되었으며, 신들의 이야기는 계속해서 전해졌습니다. 

수메르 문명은 인류 문명의 기초를 세운 중요한 문명으로, 그들의 발명과 업적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법률, 시간 측정, 도시 계획 등 여러 분야에서 수메르 문명의 기여는 오늘날에도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클릭]

 

 

 

출처

https://www.worldhistory.org

https://www.britannica.com/

 

반응형